printf() 함수
기본 출력함수로써 가변인수 함수라고 분류한다. 가변인수 함수라는 것은 인자가 정해져있지 않고 변할 수 있다는 뜻이다.
Ex> int printf(const char * _Format, ...);
printf()함수의 원형이다. int형 반환 값이 있는데 이것은 " "안에 들어있는 포맷에 대한 길이를 int형으로 반환한다.
""안에 포맷과 뒤에 전달인자의 개수가 정확히 일치해야한다.
포맷의 형태는 %d(정수), %f(실수float형), %lf(실수 double형), %c(문자), %s(문자열) 등이 있다.
scanf() 함수
printf와 마찬가지로 가변인수 함수이다. 하지만 scanf()함수는 입력에 사용한다.
Ex> int scanf(const char * _format, ...);
scanf()함수의 원형이다. int형 반환 값은 입력으로 받아들인 갯수를 반환한다.
뒤에 오는 전달인자는 &를 붙여 해당 변수의 주소에 값을 넣는 형태이다.
입력 받는 포멧은 위에 printf()함수의 포맷과 동일하다.
- 출처 : http://cafe.naver.com/codingduckhoo/99
※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기때문에 출처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.
'Program Languege > C/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d::string (0) | 2013.03.18 |
---|---|
구조체 (struct) (0) | 2013.02.27 |
함수 오버로딩 (0) | 2013.02.27 |
Call by (0) | 2013.02.27 |
함수 (2) | 2013.02.27 |